Old Data/Jefflee

웹민주주의-롱테일-기자실 개혁

Jeff Lee 2007. 6. 1. 14:14
2007. 6. 1

2007/05/31 :: epolitics-웹 민주주의

철지난 이슈같지만 너무 직접적인 당사자가 될 수 있어서 '공부 좀 하면서 생각을 정리할 필요가 있었다' 겨우 관련 포스팅을 한다. 정치+기자와 너무 밀접해서리...^^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일명, 기자실 통폐합)과 관련한
온오프라인 여론이 이원화되고 있는 가운데, inews.com에 보도된 어제 토론회 관련 보도가 눈에 띈다. MBC100분토론도 '기자실 통폐합'을 주제로 다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인적으로 국정홍보처의 미숙함은 일처리 수순이 정교하지 못했다고 생각하고
취재지원 시스템의 개편은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1) 관료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공개를 확대하는 쪽으로 정보공개법을 보강하면서'
참여정부 들어서 겨우 정착된 '브리핑제가 후퇴해서는 안된다'며 언론에 일침을 가했다면
2) 자체적인 자정노력 촉구와 함께 몇몇 우호적인 매체를 우군으로 확보한 상태에서 '브리핑룸 및 기사송고실 개편'이 진행되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1) 2)를 한꺼번에 쏟아놓다보니 전 언론이 '기자실 통폐합'으로 인식해버렸다. 통폐합이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인 이미지 탓이다. 5공 때의 '언론 통폐합'으로 오해한 분들 많았을 것이다. 1) → 2)로 시간차를 뒀으면 좋았을 것을.....수순이 정교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하고 싶다.

사실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3곳으로 통폐합되는 것이 아니라 9곳 정도인것 같고, 각 언론사별로 4명정도는 취재공간이 제공되는 것 같다. 당연히 출입기자 수가 많은 조중동과 매경은 외부에 오피스텔 등 별도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고, 이미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겨레나 경향신문은 별도의 공간마련없이도 충분히 브리핑룸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숫자가 넘치면 공동기사송고실을 이용하면 된다.

암튼, 한겨레나 경향까지 나서서 '기자실 통폐합=언론탄압'으로 몰고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었는데........

오늘 MBC백분토론 평을 쓸까했는데 이미 비슷한 평을 한 포스팅이 이었서 추천합니다.
☞ <재미있던 MBC 100분 토론 - 기자실 통폐합, 언론개혁인가 탄압인가>

그리고 하나 더 추천
조선-동아, 일본기자클럽 폐해를 알기나 하나?

"기자실 개혁, 언론자유 침해 아니다" 
논점이 흩트러져...감정싸움으로 치달아
[아이뉴스24 2007-06-01]
                                                      정병묵기자 honnezo@inews24.com  

"기자실 개혁이 언론자유를 침해한다고 볼 수 없다."
한국기자협회와 저널리즘연구회가 31일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연 '브리핑 룸 및 기사송고실 통폐합'에 관한 긴급 토론회에서 언론자유의 침해와 기자실 개혁은 연관성이 없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발제를 맡은 최영재 한림대 교수는 "취재 과정의 투명성이 아닌 공간의 문제만을 건드렸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고 논의가 엉뚱한 방향으로 튀었다. 기자실·브리핑 룸 개혁이 언론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에 대해 의문"이라고 진단했다.
최 교수는 "정부는 브리핑 룸이나 기자실을 설치할 권리가 없고, 언론은 설치할 것을 요구할 권리도 없다. 기자실을 폐지한다고 해서 언론의 취재 자유가 제한된다는 것은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
안영배 국정홍보처 차장은 "현재 과천에는 경제 브리핑 룸 두 곳을 재정경제부·산업자원부·농림부 등이 함께 쓰고 있고 단독으로 쓰는 데는 건설교통부 밖에 없다"며 "이 곳들은 주당 평균 브리핑 횟수가 1회이고 실제로 상주하는 기자가 없는 곳도 있다"고 현 실태를 짚었다.
장윤선 오마이뉴스 기자는 "실제로 기자실이 기자들에게 꼭 필요한 공간인가"라고 반문한 뒤 "실제로 기자실이 기자들의 사적 공간처럼 된 경우가 많다. 정부가 제공하던 게 없어지면 불편해지기 때문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에 대한 반대 측은 참여정부의 언론관을 문제 삼았다.
남봉우 내일신문 편집위원은 "2003년 개방형 브리핑 제도를 많은 사람들이 반대했을 때 노무현 대통령은 '그렇게 특권을 가지려면 기사 송고실도 폐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며 "정보 접근권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 없이 '무단 출입을 막는다' 하니까 기자들이 민감해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남 편집위원은 이어 "노 대통령이 '여긴 우리 구역이니까 나가라'는 식으로 말한 것부터가 이런 문제를 초래한 근본적인 문제점"이라며 "언론을 '전면 개선해야 할 구악'으로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김창학 경기일보 차장은 "이번 조치로 언론계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각이 심각하게 왜곡됐으며 기자들의 부정적 특권적 의식을 강화됐다"고 말했다.
김 차장은 또 "정부를 찬성하는 네티즌들을 보면 기자를 구악으로 생각한다"며 "언론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깨기 위한 조치라는 생각이 들 정도"라고 강조했다.